하늘이 나에게
복을 박하게 준다면
나의 덕을 두텁게 하여
이를 맞이 할것이고
하늘이 내몸을
수고롭게 한다면
나의 마음을 편하게 하여
이를 보충하며
하늘이
내 처지를 곤궁하게 한다면
나의 道를 형통하게 하여
그 길을 열것이니
하늘인들
나를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한글로 번역했습니다)



몇해간 중단한 행사도 간략하게

해설에 열중이신 환빛선생님









와중에
노환으로 돌아가신
장인어른의
슬픈 소식이 있었습니다
훗날
우리들 이야기에 올릴께요

서각은
나무가 살아온 흔적을
옹이와 무늬로 남기는데
그 부분 잘 표현해 주는것이
나무에 대한 예의이고
정성스럽게 쓴 글씨를
한점,한획을 놓치지 않고
나무에 새기는 종합 예술이다
작품은 음양각이다

명나라 말기때
학자인 홍자성이 쓴
채근담에는
유교,도교,불교의 사상까지
닮겨 진 후오덕을 쓰고
각을 해봤습니다
하늘은
선택하여 복을 주지만
덕은 내가 만들어갑니다
박복하다고
좌절하고 주저앉아 울지않고
헤쳐 나아가면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말처럼
하늘마저 감동하여
그 길을 열어 준답니다
2022년
문자문명 예술대전 작품을
8월17일부터 28일까지
성산아트홀 전관에서
볼수가 있습니다
윤태규 마이웨이
https://youtu.be/XB8scvT5XpM
'시,서각,문인화,수묵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섣달 그믐날에 쓰는 편지 (270) | 2023.01.21 |
---|---|
죽도선생 겨울이야기 (292) | 2022.12.13 |
서각,사노라면 (4) | 2022.06.18 |
새벽강 (0) | 2022.04.25 |
봄비는 가슴에 내리고 (0) | 2022.03.14 |